독서록 쓰기 싫은 아이도 좋아하는 ‘질문 중심 독서법’
“독서록, 왜 이렇게 쓰기 싫을까?”
많은 학생들이 책 읽기보다 더 부담스러워하는 것이 바로 독서록 쓰기입니다.
“무슨 말을 써야 하지?”, “줄거리 요약 말고 다른 건 뭐야?”, “내용은 기억나는데 어떻게 정리하지?”
이런 고민은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아서 생깁니다. 하지만 단순히 ‘읽은 내용 정리’가 아니라, 책을 질문으로 바라보는 습관을 들이면 독서록 쓰기는 훨씬 쉽고 재미있어집니다. 이 글에서는 독서록 쓰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질문 중심 독서법을 소개합니다.
왜 독서록을 싫어하게 될까?
줄거리 요약에만 그치기 때문
대부분의 학생이 ‘내용 요약’을 중심으로 독서록을 씁니다. 하지만 이렇게 쓰면 기계적이고 감정이 들어가지 않아 글이 재미없어집니다. 무엇보다 자신만의 생각이 담기지 않습니다.
글의 구조와 목적을 모른 채 쓰기 때문
어떤 방식으로 독서록을 써야 하는지 배우지 않고 ‘그냥 써봐’라는 말만 들으면 막막해지죠. 목적과 틀이 없이 쓰는 글은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
책을 읽는 관점이 없기 때문
책을 '질문 없이' 읽으면 단순한 정보만 남습니다. 책을 읽을 때 ‘생각하며 읽는 습관’이 없다면, 쓸 이야기가 떠오르지 않게 됩니다.
질문 중심 독서법이란?
질문 중심 독서법은 책을 읽기 전에, 읽는 동안, 읽은 후에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며 읽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하면 책의 내용을 단순히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게 됩니다.
📘 읽기 전 질문
- 이 책의 제목은 어떤 의미일까?
- 작가는 어떤 이야기를 하려고 했을까?
- 나는 이 책에서 무엇을 알고 싶을까?
👉 책을 시작하기 전에 ‘궁금한 점’을 정리하면, 집중력과 호기심이 높아집니다.
📘 읽는 중 질문
- 왜 이 인물은 이런 행동을 했을까?
- 이 장면에서 내가 느낀 감정은 무엇일까?
- 이 상황은 현실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 독서 중 계속 생각하는 습관이 생기고, 중요한 장면에 주목하게 됩니다.
📘 읽은 후 질문
- 이 책을 한 줄로 요약하면?
- 내가 공감하거나 반대하는 부분은?
- 이 책을 읽고 나의 생각이나 행동이 바뀐 점은?
👉 이 질문들은 독서록의 핵심 내용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줍니다.
질문 중심 독서록, 이렇게 쓰면 됩니다
① 질문으로 독서록 제목 만들기
예1) “왜 주인공은 끝까지 혼자서 싸우려고 했을까?”
“이 책이 지금 우리 사회에 주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질문을 제목으로 잡으면 글의 방향이 명확해지고, 자연스럽게 생각을 풀어낼 수 있습니다.
② '줄거리 요약 + 내 생각' 구성 활용하기
1단락: 책의 핵심 내용 또는 사건 요약
2단락: 질문에 대한 나의 생각이나 해석
3단락: 그 책이 내게 준 교훈, 느낀 점, 변화 등
👉 독서록의 기본 구조가 잡히면 부담 없이 쓸 수 있어요.
③ 짧은 메모부터 시작해보세요
책을 다 읽고 한꺼번에 쓰려면 어렵습니다. 읽으면서 “이건 나중에 쓸 만하겠다” 싶은 문장이나 장면을 간단히 메모해두면, 글쓰기가 훨씬 쉬워집니다.
④ 질문 스티커 활용법
책갈피나 포스트잇에 질문을 써 붙이면서 읽어보세요. 책과의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나중에 다시 내용을 떠올리기도 쉬워집니다.
질문 하나가 독서록을 바꾼다
독서록은 단지 독후감을 쓰는 과제가 아닙니다. 책을 읽고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연습이며, 나의 의견을 정리하는 글쓰기 훈련입니다. 그 시작은 질문하는 습관입니다. 질문을 중심으로 책을 읽고, 그 질문에 답을 쓰듯 독서록을 쓰면 부담이 줄어들고, 글의 수준도 자연스럽게 높아집니다. 부모님께서는 아이가 단순히 “다 읽었어요”라는 말보다, “이 장면에서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라고 묻는 아이로 자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질문은 생각을 자극하고, 생각은 글로 자랍니다.
질문과 함께하는 독서, 지금부터 시작해보세요!
'독서 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 실력, 하루 10분 일기로 키우기: 논리력과 표현력 동시에 잡기 (0) | 2025.07.30 |
---|---|
여름 방학 글쓰기 실력 키우는 법: 매일 5문장 쓰기부터 시작하기 (1) | 2025.07.20 |
여름방학 추천도서 : 2025 청소년 소설 베스트 10 (1) | 2025.07.16 |